[2025 수출 유망 품목 분석 시리즈7편] 밸브·주물제품, 작지만 수출 파급력이 큰 인프라 핵심 부품
밸브와 주물제품은 산업 인프라를 구성하는 기초 부품이자 핵심 제어 장치입니다.보통은 보조 부품으로 여겨지기 쉽지만, 실제로는 설비의 안전성, 내구성, 유지관리 편의성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수출 품목입니다.2025년 세계 각국은 플랜트 설비 확충, 노후 인프라 개보수, ESG 기반의 인프라 구축을 강화하면서 밸브·플랜지·체크밸브·커플러·엘보 등 주물 부품의 기능성과 인증 여부를 더욱 엄격히 요구하고 있습니다.한국은 정밀 주조 기술, 열처리·도장 설비, 다양한 소재 대응력(주철·스테인리스·동합금 등)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플랜트 시공사, 소방설비업체, 건축 유통사 등에서의 납기·품질 만족도가 높아 안정적인 수출 품목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주요 HS코드 분류 및 대표 품목 HS코드 ..
2025. 4. 19.
[산업 특화 무역 전략 #3]중동과 동남아 바이어, 밸브를 보는 눈이 다르다
밸브, 커플러, 배관 자재 같은 산업용 부품을 수출할 때같은 제품이라도 바이어의 평가 기준이 전혀 다르다는 것, 경험해 보셨나요?중동 시장과 동남아 시장은 무역 규모도 크고, 우리나라 제조업체가 많이 진출하는 대표적인 지역입니다.하지만 이 두 시장의 바이어는 제품을 바라보는 시선부터 협상 방식, 거래 구조, 인증 기준까지 모두 다릅니다.“같은 밸브인데 왜 이런 반응 차이가 나지?” 싶다면, 그 이유를 지금부터 설명드리겠습니다. ✅ 1. 중동 바이어는 ‘서류’로 판단한다 – 절차 중심 평가중동 국가들(사우디아라비아, UAE, 카타르 등)의 바이어는제품의 외관이나 기능보다 먼저 “인증이 있는가?”, “입찰 조건을 충족하는가?”를 봅니다.대부분 정부 또는 EPC 프로젝트 납품을 목표로 하고 있어제품 선정 기준..
2025. 4. 6.
[산업 특화 무역 전략 #1]주물·밸브 산업, 수출하려면 이것부터 알고 가세요
밸브나 커플러 같은 주물 기반 산업용 부품은모양은 단순하지만, 실제 수출 전략은 굉장히 복잡합니다.“구멍 뚫고 나사산 만들면 되는 거 아닌가요?”라는 질문은현장을 모르는 사람의 대표적인 오해죠.특히 주물 제품은 "무게, 규격, 기능보다 ‘사용 환경’과 ‘신뢰도’"가 더 중요하게 평가됩니다.이번 글에서는 밸브/커플러류 제품의 수출 실무에서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핵심 요소들을 정리해봅니다. ✅ 1. 주물 제품은 기술이 아니라 ‘신뢰’를 판다밸브는 결국 물을 막거나 통과시키는 기능을 하는 부품입니다.기술적 난이도는 높지 않지만, 문제는 그 기능이 소방, 건축, 배관, 플랜트 등 ‘안전’과 직결된 설비에 들어간다는 점입니다.즉, 작은 결함 하나로 수백억짜리 공정이 멈출 수도 있고,화재 시 작동하지 않으면..
2025. 4. 5.